본문 바로가기
그린인플루언서

곤충의 이해

by 북댄스 2024. 10. 10.
반응형

곤충의 생김새 관찰

몸의 구성

일반적인 곤충의 특징은 몸은 많은 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몸의 겉은 외골격인 키틴질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곤충의 몸은 머리, 가슴, 배의 3부분으로 구분되며 다리가 6개인 큰 특징을 가지고 있다.

 

머리

머리 부위에틑 1쌍의 더듬이와 2개의 겹눈 1-3개의 홑눈을 가진 구조로 되어 있다.

머리에는 입이 붙어있다. 머리에 있는 더듬이는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더듬이는 온도, 습도, 방향, 냄새 등 감각 기능을 수행하며 곤충분류에 있어 중요한 변수이다.

입은 환경에 잘 적응한 형태로 씹는 입, 빠는 입, 퇴화되어 없어진 무리 등이 있다. 

눈운 모자이크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눈의 숫자가 작을 경우 완전한 형태의 상을 감지할 수 없고

홑눈은 겹눈의 보조역할을 한다. 

 

더듬이

더듬이는 강력한 감각 센서의 역할을 한다. 

밑마디, 흔들마디, 채찍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가슴

앞가슴, 가운데가슴, 뒷가슴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 가슴에는 1쌍의 다리가 붙어 있으며 가운데가슴과 뒷가슴에 1쌍씩의 날개를 가지고 있다. 

곤충날개의 모양은?

앞, 뒷 날개 모두 크고 비늘로 덮힌 것-나비무리

앞날개가 완전히 딱딱한 것-딱정벌레(갑충)무리

앞날개가 반 정도만 딱딱하고 나머지는 막으로 된 무리-노린재무리

날개가 모두 막처럼 된 것-잠자리, 매미, 메뚜기, 벌, 파리, 하루살이무리 등

 

다리

다리는 가슴의 옆 배면에서 도랑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여러마디로 구성되어 있는 데 가슴과 직접 연결되는 밑마디, 나머지 마디들의 운동성을 갖게 하는 축 역할을 하는 도래마디, 뛰고 걷는 등 힘을 내게 하는 넓적다리마디와 종아리마디, 물체에 붙거나 길 때 유연성을 확보하게 하는 여거 개로 된 발목마디와 앞발목마디, 그리고 발톱 등이 있다. 

 

배에는 생식기관, 소화기관, 배설기관, 호흡기관 등이 있어서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기관들이 분포해 있으며 각 종마다 독특한 생식기와 소화기관을 가지고 있어 종을 나누는데 이용하고 있다. 

 

곤충분류

분류의 기본단위는 바로 종인데 같은 종이란 형ㅌ와 생태적 습성이 기본적으로 같으며 종의 번식이 가능하여야 하는 개체군을 뜻한다. 분류는 이러한 종을 기초로 비슷한 종을 묶어 속으로, 속을 묶어 과로 하여 종, 속, 과, 목, 강, 문, 계로 나누어진다. 

곤충은 동물계에 속하며 절지동물문(마디발 동물)인 거미, 게와 같은 공통의 조상에서 진화하여 곤충강으로 거미 등과 구분된다. 곤충 중 나비는 절지동물문 곤충강 나비목 호랑나비과 호랑나비처럼 분류를 한다. 이런 분류사이에 아종, 아속고 상속, 아과와 상소, 아과와 상과, 아목과 상목 등 여러 가지로 세분하기도 한다. 

 

평가

 

곤충의 구조적 특징은 곤충이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 전략을 반영한다. 각 부분의 구조와 기능을 알아가면서 곤충의 진화적 경로와 생태적 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

특정 환경에 적합한 구조적 변화는 그 종의 생존과 번식 성공률을 높이는데 기여함을 알 수 있다.

반응형

'그린인플루언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림휴양과 산림문화  (2) 2024.10.10
대추 한 알 / 장석주  (0) 2024.08.27
숲체험 240811  (0) 2024.08.11
생태계 ecosystem 공생관계  (0) 2024.08.01
CO2를 줄이는 생활의 지혜  (0) 2024.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