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린인플루언서

산림휴양과 산림문화

by 북댄스 2024. 10. 10.
반응형

산림휴양과 산림문화

 

산림휴양

 

1.휴양 계획의 개념

 

1) 관리형 계획개념:

계획은 관리의 거울, 이용의 질, 경험의 완충, 만물상적 증후군배제, 대중참여

2) 사회적 계획개념:

동기-편익모델: 욕구체계모델: 행위집적모델: 휴양수용력모델(심리적 수용력):

수요공급모델

3) 자원형 계획개념:

자연주의와 미학, 토지의 비가역성, 자원의 잠재력

 

2.ROS(휴양기회 분포역) 개념의 시사전

1)장소성, 배경 환경의 차별화

2)디자인의 수주녈 적용, 차별화

3)시설 유형 및 시설재료이 차별화

 

 

3. 연령에 따른 산림휴양활동의 고려

1)10대:정력적으로 활동에 참여

2) 20대: 특히 옥회활동에 활발한 참여(예,원생지 등반, 카누 등)

3) 30대: 옥회활동과 빈도가 조금 줄어듬(등반이 야영으로 대체 됨)

4) 40대: 참여가 좀 줄고 관람쪽으로 기움

(텐트 야영보다는 RV 야영으로 대체 됨)

5) 50대: 관람쪽이 다수임. 소수가 육체적 조건의 개선을 시도함

6) 60대: 관람. 활동적인 육체적 특징이 감소함. 정원가꾸기

7) 70대: 은퇴와 더불어 몇몇은 새로운 운동을 모새함. 골프, 수영 등

 

 

 

산림문화

 

1. 문화

한 인간 집단의 생활양식의 총체_Edward Taylor 1871

한 민족의 특징적인 활동과 관심사 전체_T.S.Eliot 1948

 

Terry Eagleton 2016

1)예술적이고 지적인 작업의 전체

2)정신적이고 지적인 발전과정

3)사람들이 살아가며 따르는 가치, 관습, 신념, 상징적 실천들

4)총체적 삶의 방식

 

 

2. 문화의 속성

1) 문화는 공유된 것이다.

2) 문화는 학습된 것이다.

3) 문화는 축적된 것이다.

4) 문화는 하나의 전체를 이루고 있다.

5) 문화는 항상 변한다.

 

3. 산림문화란?

1)문화:대상(자연)에 사람의 생각과 힘이 작용한 결과 나타난 것

2)산림문화: 산림에 가해진 사람의 생각과 힘의 결과에서 비롯된 것

3)산림문화자원: 산림문화의 모습을 갖는 유형, 무형의 대상물

 

4. 산림문화 관련 명언

 

문명 앞에 숲이 있고 문명 뒤에 사막이 남는다.(샤토브리앙)

인류문명의 역사는 산림파괴의 역사다.(키민스)

숲없이 문화없고 문화없이 숲없다. (요셉 웨셀리)

숲은 짧고 사막은 길다. (고은 시인)

숲은 단음절어지만 그 속에는 무궁무진한 경이의 세계가 숨어있다.(테오도르 호이스)

 

 

5. 산림문화 자원, 자산의 의의와 활용

 

1) 산림 문화 및 역사 자료

2) 전통생태학적 자산

3) 산림자원에 대한 정체성, 장소성

4) 산림지 활용에 대한 복원 근거

5) 산림환경 문화에 대한 교육 자료

6) 산림 및 산림문화에 대한 인식 제고

 

평가: 인류문화의 형성과 발전에 산림이 끼친 중차대한 역할을 깨닫고 무궁무진한 경이의 세계와 후손의 미래를 지속적으로 간직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활용을 제공해야 겠다. 숲이 위기를 맞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숲해설가의 역할이 크다.

반응형

'그린인플루언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곤충의 이해  (1) 2024.10.10
대추 한 알 / 장석주  (0) 2024.08.27
숲체험 240811  (0) 2024.08.11
생태계 ecosystem 공생관계  (0) 2024.08.01
CO2를 줄이는 생활의 지혜  (0) 2024.06.20